죽음마저도 흥겨움으로 풀어내는 죽은자의날 축제
저녁이 되자 소깔로 광장에 사람들이 모여 들기 시작하면서
여기저기 조형물들이 세워지고 해골 모양을 한 사람들이 즐거운 표정으로 축제 분위기를 만들어 갔다
우리가 도착한 날이 멕시코인들의 축제인 '죽은자의 날'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한다
죽은자의 날 (스페인어: Dia de Muertos)은 멕시코의 전통 축제 중 하나로
죽은자들이 일년에 한번 11월 1일~2일 이승의 가족과 친구를 만나기 위해 찾아오는 날이다
살아있는 사람들은 음식과 꽃. 촛불로 죽은자를 환영하고 해골 분장과 조형물로 축제를 연다
또한 이 전날은 죽은 아이들을 위한 날이라고 한다
( 멕시코에서는 아이들이 죽으면 자동적으로 천사가 된다고 믿는다 )
고대 아즈텍 사람들은 죽으면 영혼이 4개의 다양한 장소로 가서 영원한 삶을 누린다고 믿었다
그 곳은 계급도 사회적인 신분의 차별도 없이 평화롭게 쉬는 곳이기에
이 날은 즐겁게 그 곳에서 나를 만나러 온 가족과 친구들과 밤을 지새는 것이었다
11월을 전후하여 활짝 피는꽃 셈파수칠 (금잔화)
죽은자의날에는 죽은자의 꽃이라고 불리우는 셈파수칠과 맨드라미로 장식을 하고
영혼들이 여행길에 힘과 용기를 얻도록 생전에 좋아했던 음식을 준비하여 연회를 연다
제단에는 4가지 요소로 장식을 한다
불 - 촛불을 켜두면 그것이 영혼을 자신의 제단으로 안내해 주리라 믿는다
물 - 긴 여행으로 인한 영혼의 갈증을 해소시켜 줄거라고 믿는다
흙 - 빵을 의미하며 영혼의 배고픔을 해소시켜주기 위함이다
바람 - 형형색색의 종이를 오려 제단을 장식해 표현한다
호텔에 차려진 제사상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에는 죽은 영혼을 위한 제단이 마련되고
죽은자의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가족들이 묻혀 있는 묘지를 찾아가서
그들의 무덤을 청소하고 비석 앞에 꽃을 놓고 촛불을 켜 놓는다
고대의 멕시코인들은 삶과 죽음이 곧 하나라고 믿었다
이러한 전통은 아즈텍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죽음과 고통등 인생의 과정에서 오는 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엿볼수 있었다
'칼라베가'라고 불리는 설탕으로 알록 달록 예쁘게 만들어진 해골모양의 장식
소깔로 광장에서는 죽은자의 빵을 제빵업계에서 만들어 나눠 주었다
죽은자들의 날.. 이 기간동안은 죽은자들의 무덤을 청소하고,
이들을 위해 정성껏 음식을 차리고 흥겹게 노는 기간이다
이 기간에 먹는 빵을 '망자의 빵'이라고 한다.
행사를 위하여 대규모 무대가 광장에 만들어지고 있다
이정표도 새로 만들어 세웠다
광장 한쪽에 천막으로 만든 부스안에는 다양하고 현란하게 만든 죽은자들의 인형들이 진열되어 있다
소깔로 광장의 야경
대성당
기념품은 모두 해골 - 죽은자들의 모형이다
우아한 해골부인 '카트리나'와 함께
죽음이 종말이 아니라 더 좋은곳에 가기 위한 하나의 관문이라고 믿는 그들
그래서 멕시코인들은 죽음을 엄숙 대신 익살로 대신하여 축제로 승화 시키고 있었다
죽음마저 흥겨움으로 풀어내는 그들의 여유와 넉넉함이 좋았다
'해외여행 > 중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루여행] 잉카 제국의 영원한 수도 쿠스코 (0) | 2011.11.21 |
---|---|
[멕시코여행] 슬픔과 기쁨을 모두 품고 심장을 바쳤던 '치첸이트사' (0) | 2011.03.14 |
[멕시코여행] 지금도 땅밑에 아즈텍 문명이 남아있는 멕시코시티 (0) | 2011.02.12 |
[아르헨티나여행] 켜켜이 쌓인 세월을 담은 하얀거인 모레노 빙하 (0) | 2010.07.30 |
[칠레여행] 남미 대륙의 끝자락 '파타고니아'에서 만난 비경 (0) | 2010.07.26 |